1. 외래어 표기법
(1) 세부 차례
제1장 표기의 원칙
제1항 외래어는 국어의 현용 24 자모만으로 적는다.
제2항 외래어의 1 음운은 원칙적으로 1 기호로 적는다.
제3항 받침에는 'ㄱ, ㄴ, ㄹ, ㅁ, ㅂ, ㅅ, ㅇ'만을 쓴다.
제4항 파열음 표기에는 된소리를 쓰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제5항 이미 굳어진 외래어는 관용을 존중하되, 그 범위와 용례는 따로 정한다.
제2장 표기 일람표
- [표 5] 중국어의 주음 부호(注音符號)와 한글 대조표
제3장 표기 세칙
- 제 7절 중국어의 표기
제4장 인명, 지명 표기의 원칙
- 제1절 표기 원칙
- 제2절 동양의 인명, 지명 표기
- 제3절 바다, 섬, 강, 산 등의 표기 세칙
제5장 외래어 표기 용례의 표기 원칙
- 1~5 장
- 6장 표기의 원칙
- 7장 기타 언어 표기의 일반 원칙
(2) 개념 : 외래어를 우리말로 적는 규정
변천 과정 : 조선어학회의 ‘외래어 표기법 통일안(1940)’, 해방 후의 ‘로마자의 한글화 표기법(1959)’을 거쳐 현재는 ‘외래어 표기법(1986)’을 따르고 있음.
(3) 유의점 : 외래어 표기법은 외국어 발음을 그대로 옮겨 적기 위한 방법이 아니며, 국어 생활을 하는 가운데 외래어를 통일되게 표기하기 위한 방법일 뿐이라는 점에 유의하여야 함.
(4) 외래어 표기법 규정
제1장 표기의 기본 원칙 - 외래어 표기법의 총론 (제1항 ~제5항)
① 제1항 : 외래어는 국어의 현용 스물네 개의 자모만으로 적는다.
․ 외래어 표기법은 단 한 글자도 새로운 문자를 허용하지 않고 현용 한글 자모로만 표기한다.
→〔f,v,ʃ,ʧ,ɔ,ʌ〕처럼 국어에 없는 외국어음을 적기 위하여 별도의 문자를 만들지 않겠다는 것.
→ 국어에 없는 외국어의 특유 발음을 다 반영하려면 외래어 표기용 문자를 더 만들어야 하는데
이는 언중이 익히는 데도 부담스럽다.
② 제2항 : 외래어의 1 음운은 1 기호로 적는다.
․ 외래어 표기법은 외국어를 원음과 똑같이 표기하려는 외국어 표기법이 아니고 우리에게 들어와
정착된 발음으로 적어 통용하는 표기법이므로 원어에 일치시킬 수도 없고 그럴 필요도 없다.
예) f → ㅍ : family(패밀리), film(필름), feel(필)
→ 'feel'을 '휠'이라고 하면 'wheel'도 ‘휠’이어서 동음어가 된다. 따라서 외국
어 소리 한 가지에 대해서는 한글 표기가 한 가지로 대응하는 것이 이상적이다.
v → ㅂ : service(서비스)
→ 외래어 표기는 원어에 가까운 것이 이상적이지만 국어와 다른 음운 체계를 가진 외국어를 원음에
가깝게 표기하는 데는 한계가 있어 가령〔f,v〕는 근사음(近似音) ‘ㅍ, ㅂ’으로 적고 만족할 수밖에 없다.
③ 제3항 : 외래어의 받침에는 ‘ㄱ,ㄴ,ㄹ,ㅁ,ㅂ,ㅅ,ㅇ’기호로 적는다.
․ 현대 국어의 음절 끝소리에는 일곱 가지 소리만 실현되므로 일곱 개의 홑받침만 허용하고 나머지
홑받침은 물론 그 어떤 받침도 적을 필요가 없다.
→ 가령 ‘커피숖, 슈퍼마켙, 케잌’은 ‘커피숍, 슈퍼마켓, 케이크’가 바르다. 특히〔ʈ〕음을
지닌‘hot line, chocolate’등의‘t’는‘ㄷ’대신‘핫라인, 초콜릿’처럼‘ㅅ’으로 적어야 한다.
④ 제4항 : 파열음 표기에는 된소리를 쓰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 무성 파열음〔p,t,k〕는 영어, 독일어처럼 거센소리 ‘ㅍ, ㅌ, ㅋ’에 가까운 언어와 프랑스 어,
러시아 어, 스페인 어, 이탈리아 어처럼 된소리 ‘ㅃ, ㄸ, ㄲ’에 가까운 언어로 구별되는데, 이들을
통일하여 모두 거센소리로 적도록 하였다.
예) Paris → 파리(←빠리 ×), 나뽈레옹 → 나폴레옹
㉠ 유성 파열음〔d,b,g〕인 경우 : 된소리 표기를 쓰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함.
예) bus (뻐스 → 버스), dam (땜 → 댐), gas (까스 → 가스)
㉡ 유성 파찰음〔ʤ〕인 경우 : 된소리 표기를 쓰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함.
예) jass (째즈 → 재즈), jeep (찝 → 집), jam (쨈 → 잼)
㉢ 마찰음〔s〕인 경우 : 된소리 표기를 쓰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함.
예) service (써비스 → 서버스), sale (쎄일 → 세일), surfing (써핑 → 서핑)
조음 방법 조음 위치 |
입술소리 |
혀끝소리 |
센입천장소리 |
여린입천장소리 |
목청소리 | ||
두 입술 |
윗잇몸 |
센입천장 |
여린입천장 |
목청사이 | |||
안울림소리 |
파열음 |
예사소리 |
ㅂ |
ㄷ |
|
ㄱ |
|
된소리 |
ㅃ |
ㄸ |
|
ㄲ |
| ||
거센소리 |
ㅍ |
ㅌ |
|
ㅋ |
| ||
파찰음 |
예사소리 |
|
|
ㅈ |
|
| |
된소리 |
|
|
ㅉ |
|
| ||
거센소리 |
|
|
ㅊ |
|
| ||
마찰음 |
예사소리 |
|
ㅅ |
|
|
ㅎ | |
된소리 |
|
ㅆ |
|
| |||
거센소리 |
|
|
|
|
| ||
울림소리 |
비음 |
ㅁ |
ㄴ |
|
ㅇ |
| |
유음 |
|
ㄹ |
|
|
|
국어의 자음은 전체 19개이다. 소리 내는 자리인 조음 위치, 소리 내는 방법인 조음 방법, 먼저 자음은 성대의 울림 여부에 따라 성대가 울리는 울림소리와 울리지 않는 안울림소리로 나뉜다.
조음 방법에 따른 자음 분류로는 파열음, 파찰음, 마찰음, 비음, 유음으로 나뉜다.
⑴ 파열음 : 허파에서 나오는 공기를 일단 막았다가 그 막은 자리를 터뜨리면서 내는 소리를 말함
2 마찰음 : 입 안이나 목청 사이의 통로를 좁히고, 공기를 그 좁은 틈 사이로 내보내어 마찰을 일으키면서 내는 소리
⑶ 파찰음 : 막았다가 서서히 터뜨리면서 마찰을 일으켜 내는 소리, 즉 파열음과 마찰음의 두 가지 성질을 다 가지는
소리를 말함
⑷ 비음 : 연구개와 목젖을 내려 입 안의 통로를 막고 코로 공기를 내보내면서 내는 소리를 뜻함.
⑸ 유음 : 혀끝을 잇몸에 가볍게 대었다가 떼거나, 혀끝을 잇몸에 댄 채 공기를 그 양 옆으로 흘려 보내면서 내는
소리 ( 탄설음 - ‘ㄹ’이 음절 초성에 올 때 나는 소리, 설측음 - ‘ㄹ’이 종성에 올 때 나는 소리
예) 라이락 예)실
⑤ 제5항 : 이미 굳어진 외래어는 관용을 존중하되, 그 범위와 용례는 따로 정한다.
→ 외래어 표기법 규정에 따른 표기가 관용 발음과 어긋나는 경우에는 관용을 존중한다는 뜻.
예) 영어 'camera〔kæmərə〕'는 규정 표기로 ‘캐머러’이지만 로마자 철자식 읽기인
‘카메라’로 굳어진 관용 표기를 존중한다.
⑥ 주의해야 할 외래어 표기
㈀ sh〔ʃ〕: ㉠ 뒤따르는 모음과 합쳐서 ‘샤, 섀, 셔, 셰, 쇼, 슈, 시’로 적어야 함. 예)sunshine(선샤인
㉡ 어말에서는 ‘시’로 적음. 예) english (잉글리시), flash (플래시)
㉢ 자음 앞에서는 ‘슈’로 적음 예) 아인슈타인
㈁ 파찰음 표기에서 ‘죠, 쟈, 쥬, 져, 쵸, 챠, 츄, 쳐’는 쓰지 않음
예) 죠지 → 조지, 비젼 → 비전, 크리스쳔 →크리스천, 텔레비젼 → 텔레비전
㈂ 외국의 인명(人名)과 지명(地名)의 표기도 각 언어권별로 마련한 표기법 규정을 잘 따라야 함.
제2장 표기 일람표
〔표 1〕국제 음성 기호와 한글 대조표
자음 |
반모음 |
모음 | ||||
국제 음성 기호 |
한글 |
국제 음성 기호 |
한글 |
국제 음성 기호 |
한글 | |
모음 앞 |
자음 앞 또는 어말 | |||||
p |
ㅍ |
ㅂ, 프 |
j |
이* |
i |
이 |
b |
ㅂ |
브 |
ɥ |
위 |
y |
위 |
t |
ㅌ |
ㅅ, 트 |
w |
오, 우* |
e |
에 |
d |
ㄷ |
드 |
|
|
φ |
외 |
k |
ㅋ |
ㄱ, 크 |
|
|
ɛ |
에 |
g |
ㄱ |
그 |
|
|
ɛ˜ |
앵 |
f |
|
프 |
|
|
œ |
외 |
v |
ㅂ |
브 |
|
|
œ˜ |
욍 |
θ |
ㅅ |
스 |
|
|
æ |
애 |
ð |
ㄷ |
드 |
|
|
a |
아 |
s |
ㅅ |
스 |
|
|
ɑ |
아 |
z |
ㅈ |
즈 |
|
|
ɑ˜ |
앙 |
ʃ |
시 |
슈, 시 |
|
|
ʌ |
어 |
ʒ |
ㅈ |
지 |
|
|
ɔ |
오 |
ts |
ㅊ |
츠 |
|
|
ɔ˜ |
옹 |
dz |
ㅈ |
즈 |
|
|
o |
오 |
tʃ |
ㅊ |
치 |
|
|
u |
우 |
ʤ |
ㅈ |
지 |
|
|
ə** |
어 |
m |
ㅁ |
ㅁ |
|
|
ɚ |
어 |
n |
ㄴ |
ㄴ |
|
|
|
|
ɲ |
니* |
뉴 |
|
|
|
|
ŋ |
ㅇ |
ㅇ |
|
|
|
|
l |
ㄹ, ㄹㄹ |
ㄹ |
|
|
|
|
r |
ㄹ |
르 |
|
|
|
|
h |
ㅎ |
흐 |
|
|
|
|
c |
ㅎ |
히 |
|
|
|
|
x |
ㅎ |
흐 |
|
|
|
|
※ [j], [w]의 '이'와 '오, 우', 그리고 [ɲ]의 '니'는 모음과 결합할 때 제3장 표기 세칙에 따른다.
※ 독일어의 경우에는 '에', 프랑스 어의 경우에는 '으'로 적는다.
제3장 표기 세칙
제1절 영어의 표기
표 1에 따라 적되, 다음 사항에 유의하여 적는다.
제1항 무성 파열음 ([p], [t], [k])
①. 짧은 모음 다음의 어말 무성 파열음([p], [t], [k])은 받침으로 적는다.
예) gap[gæp] 갭, cat[kæ t] 캣, book[buk] 북
②. 짧은 모음과 유음·비음([l], [r], [m], [n]) 이외의 자음 사이에 오는 무성 파열음([p], [t], [k])은
받침으로 적는다.
예) apt[æ pt] 앱트, setback[setbæ k] 셋백, act[æ kt] 액트
3. 위 경우 이외의 어말과 자음 앞의 [p], [t], [k]는 '으'를 붙여 적는다.
예) stamp[stæ mp] 스탬프, cape[keip] 케이프, nest[nest] 네스트, part[pαːt] 파트
desk[desk] 데스크, make[meik] 메이크, apple[æ pl] 애플, mattress[mæ tris] 매트리스
chipmunk[tʃipmʌŋk] 치프멍크, sickness[siknis] 시크니스
제2항 유성 파열음([b], [d], [g])
어말과 모든 자음 앞에 오는 유성 파열음은 '으'를 붙여 적는다.
예) bulb[bʌlb] 벌브, land[læ nd] 랜드, zigzag[zigzæ g] 지그재그
lobster[lɔbstə] 로브스터, kidnap[kidnæ p] 키드냅, signal[signəl] 시그널
제3항 마찰음([s], [z], [f], [v], [θ], [ð], [ʃ], [ʒ])
①. 어말 또는 자음 앞의 [s], [z], [f], [v], [θ], [ð]는 '으'를 붙여 적는다.
예) mask[mαːsk] 마스크, jazz[dʒæ z] 재즈, graph[græ f] 그래프
olive[ɔliv] 올리브, thrill[θril] 스릴, bathe[beið] 베이드
②. 어말의 [ʃ]]는 '시'로 적고, 자음 앞의 [ʃ]]는 '슈'로, 모음 앞의 [ʃ]]는 뒤따르는 모음에 따라 '샤', '섀', '셔', '셰', '쇼', '슈', '시'로 적는다.
예) flash[flæ ʃ]] 플래시, shrub[ʃrʌb] 슈러브, shark[ʃαːk] 샤크
shank[ʃ]æŋk] 섕크 fashion[fæʃən] 패션 sheriff[ʃerif] 셰리프
shopping[ʃɔpiŋ] 쇼핑 shoe[ʃuː] 슈 shim[ʃim] 심
③. 어말 또는 자음 앞의 [ʒ]는 '지'로 적고, 모음 앞의 [ʒ]는 'ㅈ'으로 적는다.
예) mirage[mirαːʒ] 미라지, vision[viʒən] 비전
제4항 파찰음([ts], [dz], [tʃ], [dʒ])
①. 어말 또는 자음 앞의 [ts], [dz]는 '츠', '즈'로 적고, [tʃ], [dʒ]는 '치', '지'로 적는다.
예) Keats[kiːts] 키츠, odds[ɔdz] 오즈, switch[switʃ] 스위치
bridge[bridʒ] 브리지, Pittsburgh[pitsbəːg] 피츠버그, hitchhike[hitʃhaik] 히치하이크
②. 모음 앞의 [tʃ], [dʒ]는 'ㅊ', 'ㅈ'으로 적는다.
예) chart[tʃαːt] 차트, virgin[vəːdʒin] 버진
제5항 비음([m], [n], [ŋ])
①. 어말 또는 자음 앞의 비음은 모두 받침으로 적는다.
예) steam[stiːm] 스팀, corn[kɔːn] 콘, ring[riŋ] 링
lamp[læmp] 램프, hint[hint] 힌트, ink[iŋk] 잉크
②. 모음과 모음 사이의 [ŋ]은 앞 음절의 받침 'ㆁ'으로 적는다.
예) hanging[hæŋiŋ] 행잉, longing[lɔŋiŋ] 롱잉
제6항 유음([l])
①. 어말 또는 자음 앞의 [l]은 받침으로 적는다.
예) hotel[houtel] 호텔, pulp[pʌlp] 펄프
②. 어중의 [l]이 모음 앞에 오거나, 모음이 따르지 않는 비음([m], [n]) 앞에 올 때에는 'ㄹㄹ'로 적는다. 다만, 비음([m], [n]) 뒤의 [l]은 모음 앞에 오더라도 'ㄹ'로 적는다.
예) slide[slaid] 슬라이드, film[film] 필름, helm[helm] 헬름
swoln[swouln] 스월른, Hamlet[hæ mlit] 햄릿, Henley[henli] 헨리
제7항 장모음
장모음의 장음은 따로 표기하지 않는다.
예) team[tiːm] 팀, route[ruːt] 루트
제8항 중모음2) ([ai], [au], [ei], [ɔi], [ou], [auə])
이 '중모음(重母音)'은 '이중 모음(二重母音)'으로, '중모음(中母音)'과 혼동하지 않도록 한다.
중모음은 각 단모음의 음가를 살려서 적되, [ou]는 '오'로, [auə]는 '아워'로 적는다.
예) time[taim] 타임, house[haus] 하우스, skate[skeit] 스케이트
oil[ɔil] 오일, boat[bout] 보트, tower[tauə] 타워
제9항 반모음([w], [j])
①. [w]는 뒤따르는 모음에 따라 [wə], [wɔ], [wou]는 '워', [wα]는 '와', [wæ]는 '왜', [we]는 '웨', [wi]는 '
위', [wu]는 '우'로 적는다.
예) word[wəːd] 워드, want[wɔnt]nt] 원트, woe[wou] 워, wander[wαndə] 완더
wag[wæ g] 왜그, west[west] 웨스트, witch[witʃ] 위치, wool[wul] 울
②. 자음 뒤에 [w]가 올 때에는 두 음절로 갈라 적되, [gw], [hw], [kw]는 한 음절로 붙여 적는다.
예) swing[swiŋ] 스윙, twist[twist] 트위스트, penguin[peŋgwin] 펭귄
whistle[hwisl] 휘슬, quarter[kwɔːtə] 쿼터
③. 반모음 [j]는 뒤따르는 모음과 합쳐 '야', '얘', '여', '예', '요', '유', '이'로 적는다. 다만, [d], [l],
[n] 다음에 [jə]가 올 때에는 각각 '디어', '리어', '니어'로 적는다.
예) yard[jαːd] 야드, yank[jæ ŋk] 얭크, yearn[jəːn] 연, yellow[jelou] 옐로
yawn[jɔːn] 욘, you[juː] 유, year[jiə] 이어, Indian[indjən] 인디언
battalion[bətæ ljən] 버탤리언, union[juːnjən] 유니언
제10항 복합어
이 '복합어'는 학교 문법 용어에 따르면 '합성어'가 된다. 이하 같다.
①. 따로 설 수 있는 말의 합성으로 이루어진 복합어는 그것을 구성하고 있는 말이 단독으로 쓰일 때의 표기대로 적는다.
예) cuplike[kʌplaik] 컵라이크, bookend[bukend] 북엔드, headlight[hedlait] 헤드라이트
touchwood[tʌtʃwud] 터치우드, sit-in[sitin] 싯인, bookmaker[bukmeikə] 북메이커
flashgun[flæʃgʌn] 플래시건, topknot[tɔpnɔt] 톱놋
②. 원어에서 띄어 쓴 말은 띄어 쓴 대로 한글 표기를 하되, 붙여 쓸 수도 있다.
예) Los Alamos[lɔs æ ləmous] 로스 앨러모스/로스앨러모스, top class[tɔpklæ s] 톱 클래스/톱클래스
제4장 인명, 지명 표기의 원칙
제1절 표기 원칙
제1항 외국의 인명, 지명의 표기는 제1장, 제2장, 제3장의 규정을 따르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제2항 제3장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언어권의 인명, 지명은 원지음을 따르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예) Ankara 앙카라, Gandhi 간디
제3항 원지음이 아닌 제3국의 발음으로 통용되고 있는 것은 관용을 따른다.
예) Hague 헤이그, Caesar 시저
제4항 고유 명사의 번역명이 통용되는 경우 관용을 따른다.
예) Pacific Ocean 태평양, Black Sea 흑해
제2절 동양의 인명, 지명 표기
제1항 중국 인명은 과거인과 현대인을 구분하여 과거인은 종전의 한자음대로 표기하고,
현대인은 원칙적으로 중국어 표기법에 따라 표기하되, 필요한 경우 한자를 병기한다.
제2항 중국의 역사 지명으로서 현재 쓰이지 않는 것은 우리 한자음대로 하고, 현재 지명과 동일한 것은
중국어 표기법에 따라 표기하되, 필요한 경우 한자를 병기한다.
제3항 일본의 인명과 지명은 과거와 현대의 구분 없이 일본어 표기법에 따라 표기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필요한 경우 한자를 병기한다.
제4항 중국 및 일본의 지명 가운데 한국 한자음으로 읽는 관용이 있는 것은 이를 혀용한다.
예) 東京 도쿄, 동경, 京都 교토, 경도, 上海 상하이, 상해, 臺灣 타이완, 대만, 黃河 황허, 황하
제3절 바다, 섬, 강, 산 등의 표기 세칙
제1항 ‘해’,‘섬’,‘강’,‘산’등이 외래어에 붙을 때에는 띄어 쓰고, 우리말에 붙을 때에는 붙여 쓴다.
예) 카리브 해, 발리 섬 - 북해, 목요섬
제2항 바다는‘해(海)’로 통일한다.
예) 홍해, 발트 해, 아라비아 해
제3항 우리 나라를 제외하고 섬은 모두‘섬’으로 통일한다.
예) 타이완 섬, 코르시카 섬 (우리 나라 : 제주도, 울릉도)
제4항 한자 사용 지역(일본, 중국)의 지명이 하나의 한자로 되어 있을 경우, ‘강’,‘산’,‘호’,‘섬’ 등은
겹쳐 적는다.
예) 온타케 산(御岳), 주장 강(珠江), 도시마 섬(利島), 하야카와 강(간川), 위산 산(玉山)
제5항 지명이 산맥, 산, 강 등의 뜻이 들어 있는 것은 ‘산맥’,‘산’,‘강’ 등을 겹쳐 적는다.
예) Rio Grande 리오그란데 강1), Monte Rosa 몬테로사 산2), Mont Blanc 몽블랑 산,
Sierra Madre 시에라마드레 산맥3)
다음은 ‘외래어 표기법’의 제4장 제2절에 나오는 동양의 인명, 지명 표기 규정이다. 중국과 일본의 인명 및 지명을
적을 때, 두 나라에 대하여 어떤 차이를 두고 있는지 예를 들어 비교하라.
제2절 동양의 인명, 지명 표기
제1항 중국 인명은 과거인과 현대인을 구분하여 과거인은 종전의 한자음대로 표기하고, 현대인은 원칙적으로 중국어 표기법에 따라 표기하되, 필요한 경우 한자를 병기한다.
제2항 중국의 역사 지명으로서 현재 쓰이지 않는 것은 우리 한자음대로 하고, 현재 지명과 동일한 것은
제3항 일본의 인명과 지명은 과거와 현대의 구분 없이 일본어 표기법에 따라 표기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필요한 경우 한자를 병기한다.
제4항 중국 및 일본의 지명 가운데 한국 한자음으로 읽는 관용이 있는 것은 이를 허용한다. 예) 東京 도쿄, 동경, 京都 교토, 경도, 上海 상하이, 상해, 臺灣 타이완, 대만, 黃河 황허, 황하 |
① 현재 중국, 일본의 인명 ․ 지명을 원음으로 표기하는 이유?
외래어 표기법의 기본 원칙이 원음에 가깝게 옮기는 것이기 때문에 일본, 중국에서에서 온 말에 대해서만 원음을
무시하고 우리 한자음식 표기를 해석하는 것은 사리에 맞지 않다. 따라서 원음주의를 따르는 것은 불가피하다.
② 중국과 일본 인명 ․ 지명을 표기하는데 차이를 두는 이유?
중국과 일본을 차등화한 것은 역사상 중국의 인명 ․ 지명은 고전을 통하여 우리 생활 속에 융화되어 우리 한자음으로
읽는 전통이 서 있지만 일본은 문화 교류상 그런 예가 매우 적기 때문이다.
'알리는 글입니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작 스파게뤼~ (0) | 2008.12.10 |
---|---|
경고 다시 또 한번 악성댓글을 올리면 신고처벌토록 하겠습니다. (0) | 2008.11.20 |
대만중국야구 전문 중계방 안내입니다. (0) | 2008.11.01 |
[한국만세! 올림픽 금메달 획득!!!] 韩国万岁! 获得了奥运金牌精彩的照片! (0) | 2008.08.23 |
베이징 올림픽 야구 중계 (0) | 2008.08.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