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만야구 이야기/CPBL 初期~27年

점점 한국의 농장화가 되어가는 대만 프로야구

대만 프로야구에서 뛰는 외국인 선수들의 한국행이 점점 많아지고 있습니다. 


1990년 대만 프로야구가 생긴 이래로 가장 많은 현상이 아닌가 싶습니다. 1990년대와 2000년대 초반에는 양국 간의 격차가 그리 크지 않았기에 수평적 이동은 그리 많지 않았지만, 한국은 2006년 도하 참패를 계기로 대오각성하면서 2008년 베이징 올림픽에서 금메달과 WBC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었고, 그로 인해 야구의 인기가 급상승하면서 각 구단도 앞다투어 투자하여 2군 체제를 정비했고, 그 효과가 점차 나타나기 시작하면서 대만과 한국의 프로야구 격차는 점점 더 많이 벌어졌습니다.


올해 2군리그에서 뛰면서 실력을 가다듬고 내년부터 본격적으로 1군 무대에 등장하게 된 앤디 시스코/사진 kt wiz 구단


일단 가시적으로 대만과 한국 프로야구의 차이는 연봉에서부터 큰 차이가 있습니다. 외국인 선수들은 올해 상한선이 폐지되기 전까지는 명목상 30만 달러의 계약을 발표했지만, 공공연히 뒷돈을 주고받았습니다. 엘지의 강속구 투수인 리즈같은 경우는 150만 달러에 계약을 했던 사실이 밝혀진 적도 있습니다. 그러나 그 제도가 없어진 후에는 연봉이 현실화되면서 대만리그 출신의 외국인 선수가 한국에 진출하는 일이 점점 많아질 듯합니다.



일단 라미고 몽키스에서 뛰었던 짧게 뛰었지만 셰인 유먼이 한국의 롯데 자이언츠로 와서 3년간 뛰면서 좋은 성적을 올렸고, 2012년 부산 사직에서 열린 아시안시리즈에서 삼성을 상대로 완봉 역투를 펼쳤던 라미고 몽키스 팀의 마이크 로리도 작년에 kt wiz팀에 합류했고, 올해는 대만 최고의 투수였던 EDA 라이노스의 좌완 앤디 시스코가 역시 kt wiz와 2년 계약을 하여 올해 2군에서 뛰면서 내년도 kt의 1군 합류를 기다리고 있습니다. 



지난 3년간 롯데 자이언츠에서 활약하며 많은 사랑을 받은 셰인 유먼 선수의 유니세프 사랑의 나눔 기념 모습/사진 유먼 페이스북


대만에서 어느 정도 검증을 거친 외국인 투수는 성공 확률이 높다는 사례가 있어서 올해도 많은 한국의 구단 스카우트가 대만 현지로 가서 외국인 선수를 체크하고 검증하고 있습니다. 앞서 기사로도 말씀드렸지만, 삼성 구단에서도 전력분석원을 파견하여 EDA의 외국인 투수 빅터 가라테(Victor Garate)를 체크하고 돌아갔습니다. 가라테는 대만 프로야구 후반기리그부터 등판하여 11게임에서 7승을 거두며 뛰어난 활약을 보였습니다. 이 선수 외에도 다수의 한국 프로야구 구단에서 대만 프로야구를 지켜보면서 해당 외국인 선수가 쓸만한가를 체크하고 있다고 합니다.



이번에 한국에 진출한 앤디 시스코의 경우 대만 프로야구 리그에서 받던 몸값의 대략 네다섯 배의 연봉 차이가 났습니다. 앤디의 경우 막판에 한국의 복수 구단이 경쟁이 되면서 몸값이 조금 뛴 케이스입니다만 아무튼, 현재는 대만 프로리그에서 조금만 부각되면 바로 한국의 스카우트에 의해 체크되어 꾸준히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한국에서 뛰던 외국인 선수도 일본으로 진출을 많이 하고 있는데 한국에서 외국인 선수에 대한 연봉상한제가 철폐되면서 그 이동은 예년과 같지 않습니다. 그러나 분명한 것은 대만->한국->일본의 순으로 외국인 선수가 흘러간다는 점입니다. 



내년에는 또 어떤 대만리그 출신 외국인 선수가 한국에 진출하게 될지 궁금합니다.